미국이 주정부 차원에서 중국의 직접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21세기경제망이 18일 전했다.
매체는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실업문제가 미국의 최대현안으로 떠올랐으며, 실업해결을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외자유치를 선호하고 있다고 전제했다. 특히 현재 미국에 대규모 투자할 여력이 있는 중국이 그 최우선 타깃이라는 것.
투자유치는 지방정부 각자가 주도적으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일자리창출은 미국 주지사의 주요한 업적으로 평가되며 재선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미친다.
연방정부차원에서도 각 주정부들을 지원하는 정책을 실행중이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전세계 지방정부와의 연락사무실을 만들고, 이를 각 주들이 전세계 지방정부들과 접촉하는 통로로 활용케 했다.
지난해 미국의 주 정부가 중국에 설치한 사무소만도 30개. 일본(26개)와 멕시코(20개)를 앞질렀다. 지난해에는 8명의 미국 주지사가 중국을 방문했다. 버지니아주는 중국에 중국 주재 경제무역 사무소를 설립했으며, 메릴랜드주도 중국어로 된 투자자 유치 웹사이트를 새로 구축했다. 이들 사이트에는 “메릴랜드를 선택해 주세요”"버지니아가 가장 훌륭합니다”등의 문구가 중국어로 표기돼 있다. 사우스 캐롤리나주는 13개의 중국 기업의 투자를 유치한 실적을 자랑으로 내걸고 있다.
알라바마주 주지사 로버트 벤틀리는 "앞으로 20년이면 중국의 투자가 알라바마의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신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알라바마주는 '2011 알라바마의 관세의 보조의 법안'을 최근 통과시켰다. 외자 기업 중 직접투자액이 1억달러를 넘고, 1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했다면 주정부 세무감면혜택은 물론 미국세관의 반덤핑관세손실 보조금을 부여하기로 했다.
이에 중국 최고의 구리가공공장인 진룽(金龍)집단은 미국 제1공장을 알라바마주에 건설하기로 최근 확정했다. 현재 중국정부의 최종 허가만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조지아주엔 식품 공장을 비롯해 6개 중국 기업이 위치하고 있으며, 텍사스주엔 통신 및 제조업체들이 있다. 위스컨신주 밀워키에선 베이징 소재 투워드 그룹이 한 쇼핑몰을 사들이기도 했다.
미국 경제분석국에 따르면 중국의 대미 직접투자는 2008년 12억4000만달러로 2002년에 비해 세 배 이상 늘어났다. 2008년 이래부터는 중국의 대미직접투자액이 매년 130%씩 증가했다. 2010년에는 중국의 63개 기업이 모두 54억달러를 투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