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완 장관, "전통시장에 사회적 기업 도입해 경쟁력 제고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7-20 15:3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전통시장에 사회적 기업을 도입하면 경쟁력을 제고하는 동시에 취약계층의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박 장관은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제17차 경제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전통시장이 36만 중소상인의 삶의 터전이라는 점에서 시장 활성화는 매우 중요한 정책과제”라며 이 같이 밝혔다.

박 장관은 전통시장을 활성화하면 대형마트와의 경쟁을 통해 물가를 낮추는 효과도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부산의 전통시장인 부전시장이 이마트 등 대형마트와 경쟁하면서 부산지역 물가는 전국 최저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전통시장 조직화는 매우 미흡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박 장관은 “현재 전국 1517개 전통시장 중 시장발전을 주도할 상인조직을 갖춘 시장은 일부에 불과하다”며 “전통시장 조직화를 통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전통시장 스스로 고객이 원하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전통시장의 사회적 기업화는 부처간 칸막이를 넘어선(고용노동부, 중소기업청) 창의적 대안이자 대표적인 ‘이종융합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박 장관은 이날 관계부처 합동으로 준비한 ‘2011년 하반기 기업현장 애로해소 방안’과 관련, “기업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핀-포인트(Pin-Point)식 접근이 필요하다”며 “탑-다운(Top-Down) 방식을 통한 전반적인 규제관련 개선노력과 함께 바텀-업(Bottom-Up) 방식으로 통해 ‘현장과 밀착된 작지만 의미있는 변화’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민금융 지원방안인 ‘햇살론’ 발표 1주년을 맞아 거시적으로 가계부채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박 장관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가계대출은 그 규모와 증가속도를 적절히 관리해 나가야 한다”며 “다만 실물경기와 체감경기간 차이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어 서민 금융애로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햇살론과 미소금융, 전환대출을 통해 서민들의 금융애로를 적극적으로 해소해 나가는 것은 계속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최근들어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다소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판단, 특히 재정건전성에 신경써야 한다고 언급했다.

박 장관은 “미국은 일부 실물지표가 당초 예상보다 못하고 유럽은 재정위기로 아직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완전히 해소시키지 못했다”며 “특히 정책방향에 대한 내부갈등이 문제해결을 제약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재정건전성 조치는 정치적 부담때문에 위기상황에서 조차 쉽게 합의할 수 없는 사안”이라며 “재정건전성과 관련해 ‘치료’는 정책대안이아니며 ‘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