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긴급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면서 "주요 생활물가를 10가지 정도만 집중적으로 선정해서 16개 시·도별 또는 대도시 중심으로 물가 비교표를 만들어 매달 공개할 수 있도록 하라"고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지시했다고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관련기사 3면>
이 대통령은 물가 비교가 필요한 주요 품목으로 버스와 지하철, 채소 등을 꼽았다.
박 대변인은 이와 관련, "대도시별로 인건비, 교통요금 등의 원가 기준이 다를 수 있다"며 "이를 비교 검토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공유해 더 좋은 방안이 나오면 채택하자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와 함께 "이전에 물가당국이 했던 것처럼 단속·점검 등 통상적인 방법이 아니라 발상의 전환을 해 기본적으로 물가구조 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발굴, 검토하라"며 "민간의 자율적인 경쟁, 그리고 유통구조상 또는 지금까지 있었던 제도적인 방안에서 개선점은 없는지, 관습과 제도를 바꾸는 방안을 찾아보라"고 지시했다.
또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을 주축으로 물가관계장관들이 매주 물가 상황을 점검하는 회의를 개최토록 했다.
이 대통령은 "이 회의도 가급적이면 현장에 가서 현장 목소리를 기반으로 반영하고, 이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이 나올 수 있도록 회의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물가가 우리뿐 아니라 세계적 현상인 만큼 그런 점도 국민이 공감할 수 있도록 많이 설명하고, 현장에 나가서 말씀을 듣고 이해를 구하라"며 "물가관리를 하는 데 있어 서민들 가계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물가를 관리하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고유가 문제에 대해서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으며, 주택 가격과 전·월세 문제에 관련해선 논의치 않았다고 박 대변인은 전했다.
한편 정부는 이번주 박재완 장관이 주재하는 관계장관회의에서 물가 종합대책을 만든 뒤 다음주 초에 발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