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커뮤니케이션즈(SK컴즈)가 무료통화가 가능한 '네이트온톡'을 내 놓은 것이다.
현재 시장은 '카카오톡'이 선두를 달리고 있고 다음의 '마이피플'이 맹추격하고 있다.
여기에 모회사 SK텔레콤의 파워를 등에 업고 SK컴즈가 도전장을 내밀어 시장은 무한경쟁으로 흐르고 있는 모습이다.
SK컴즈는 20일 서울 중구 플라자 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스마트폰 전화번호부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모바일 메신저 네이트온톡을 선보였다.
네이트온톡은 폰 주소록에 있는 사람은 물론 3300만명의 네이트온 가입자까지 교류가 가능하다
또 이통사 구분없이 휴대폰 번호나 네이트온 아이디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비장의 무기로 첫손에 꼽히는 건 공짜 전화 서비스다.
기존 네이트온과의 유무선 연동기능과 더불어 3세대(3G) 이동통신과 와이파이(Wi-Fi)를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가능했다.
앞서 SK컴즈는 PC 메신저에서는 네이트온을 통해 짭짤한 재미를 봤지만 모바일 시장에서는 PC만큼 큰 재미를 보지 못했다.
SK텔레콤에서 출시되는 스마트폰에 ‘네이트온UC’ 서비스를 선보였지만 이용은 미미했다.
이에 절치부심한 SK컴즈는 모바일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의미로 새롭게 메신저 시장에 뛰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는 국내 이통 시장에서의 SK텔레콤의 시장 지배력과 330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네이트온 회원들이 연동될 경우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 엄청난 파장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보고 있다.
SK컴즈는 네이트온톡 출시를 계기로 미래 모바일 환경의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 항상 연결되고(Conection) △ 어떤 형태의 콘텐츠든 간편하게 유통되며(Contents) △ 디바이스에 구애 받지 않는(Context) ‘3C 전략’을 완벽히 구현해 콘텐츠 유통 허브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또한 게임 음악 동영상 등 콘텐츠 판매망뿐만 아니라 위치기반서비스(LBS) 등과 연계해 광고 시장에서 새로운 수익을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최길성 SK컴즈 CCO는 “네이트온톡은 심플하지만 음성통화, 메시지, 유무선 연동 등 핵심 기능을 모두 갖춰 하나로 모든것을 해결할 수 있는 콘셉트”라며 “향후 법인 회원, 호핀 등 외부 콘텐츠와 연계해 다양한 발전 가능성을 기반으로 범국민적 서비스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