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달(6월) 수도권에서 준공된 주택은 1만6419가구로 작년 같은 달에 비해 22%나 줄었다. 같은 기간 전국 주택 준공 실적이 3만4056가구에서 3만3422가구로 1.9% 감소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방보다 수도권의 감소폭이 훨씬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중 경기도에서는 지난달 1만761가구가 준공돼 작년 동월(1만5661가구)보다 31.3% 줄었으며, 인천도 같은 기간 1831가구에서 1303가구로 28.8% 감소했다. 서울지역만 지난해 6월 3560가구가 준공됐으나, 올해 6월에는 4355가구로 22.3% 증가했다.
반면 지방 주택은 작년 6월보다 30.8% 늘어난 1만7003가구가 준공됐다.
2~3년후 준공되는 수도권 주택 착공 실적은 지난달 1만5003가구로 지난 5월보다 14.4% 늘었다. 특히 서울은 전월보다 88.3% 늘어난 8728가구를 기록했다.
하지만 무주택자 중에서도 일정 소득 이하만 입주할 수 있는 보금자리주택 착공 실적(3758가구)을 제외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보금자리주택을 제외한 지난달 수도권 주택 착공은 1만1245가구로 전달보다 오히려 줄어드는 것.
아파트 분양 실적도 계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수도권에서 분양된 아파트는 9846가구로 전달의 1만2448가구보다 20.9% 줄었다. 이는 최근 5년간 같은 달 실적보다도 7.2% 적은 수치다.
주택 공급이 급감하면서 올 가을과 내년 봄 이사철에 전·월세 가격이 급등하는 '대란'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또한 주택 공급이 전·월세 수요가 비교적 적은 수도권 외곽 지역에 몰려 있다는 점도 이 같은 우려를 뒷받침하고 있다.
부동산114 김규정 본부장은 "최근 아파트 준공은 대부분 경기 김포시나 수원시 등의 신도시에 몰려 있다"며 "주택 공급 수요가 없는 지역에 몰리면서 전·월세 가격 급등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