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10원화 환수율은 4.7%로 전년 10.1%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한은이 10원짜리를 100만원어치 발행해서 4만7000원만 회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같은 기간 500원화 환수율은 전년의 20.5%에서 37.5%로 오히려 증가했고 100원화 환수율도 전년의 29.3%에서 46.2%로 늘었다.
50원화는 42.3%로 전년 56.0%보다 다소 감소했다.
10원화는 제조원가가 30~40원으로 액면가보다 높아서 환수율이 낮을 경우 발행 시 나타나는 적자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 올해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제조원가가 올랐기 때문에 적자액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10원화 환수율이 낮은 데 대해 한은은 10원화 사용처가 적고 실제 사용량도 적기 때문에 회수가 잘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주화(동전) 전체 환수율 평균은 전년 24.4%보다 14.9%포인트 오른 39.3%를 기록했으며 은행권(지폐)은 5만원권을 제외하면 환수율이 다소 떨어졌으나 100% 안팎의 높은 환수율을 유지했다.
권별로는 1만원권이 114.6%, 5000원권이 95.3%, 1000원권이 93.0%였다. 이들 화폐의 지난해 1~6월 중 환수율은 1만원권 129.1%, 5000원권 105.6%, 1000원권 95.0%였다.
특히 5만원권이 전년 37.5%에서 올해 66.2%로 1.8배가 뛰어오르면서 은행권 환수율은 전년보다 2.2%포인트 오른 93.3%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