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위는 전날 경제정의와 공정한 시장을 기치로 내걸고 출범한 경제민주화특위와 함께 민주당의 핵심 가치인 민생진보를 실현할 예정이다.
'3+1(무상 급식ㆍ보육ㆍ의료와 반값등록금)' 정책을 마련한 보편적 복지 기획단을 확대 개편한 것이기도 하다.
특위는 의원 15명, 원외 인사 16명 등 당내 특위 중 가장 많은 31명으로 꾸려지는 만큼 당이 큰 관심을 갖고 있는 조직이다. 특위 신청자가 몰려 선별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특위의 가장 큰 임무는 민주당의 보편적 복지 구상을 담은 ‘3+3(무상 급식ㆍ보육ㆍ의료와 반값등록금ㆍ주거복지ㆍ일자리 복지)’ 정책의 시행 방안과 재원 규모, 조달계획 등을 구체화하는 작업이다.
민주당은 특위 논의를 토대로 8월초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손학규 대표는 “양(陽)이 극성하면 음(陰)이 태동하듯 이명박 정권의 친기업 정책으로 인해 진보적 영역이 없어졌다고 생각했을 때 새로운 사회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며 “보편적 복지는 생산과 성장을 추동하는 진보적 성장의 중요한 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위 위원장을 맡은 김용익 서울대 교수는 “특위는 민주당의 구상을 잡는 게 아니라 한국 미래를 위한 새로운 활동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