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성병환자 연평균 12.7% 증가

<2010년 인구 1만명당 성병환자 현황>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노인 성병환자의 증가율이 다른 연령대를 크게 앞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성병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가 2006년 33만3000명에서 2010년 35만2000명으로 연평균 1.4% 증가했다고 22일 밝혔다.

특히 65세 이상인 성병환자가 크게 늘었다. 19세 이하는 연평균 1.8% 증가하고 20~64세 이하는 0.9% 늘었난데 비해 65세 이상의 경우 12.7%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성병은 여성에서만 증가했다. 여성은 2006년 22만9000명에서 2010년 24만9000명으로 연평균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006년 10만4000명에서 2010년 10만2천명으로 매년 0.5%씩 감소했다.

전체 성병환자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2006년에는 2.2배 많았고 2010년에는 2.4배로 격차가 더 커졌다.

연령별 증가율도 여성이 남성 보다 높았다. 65세 이상 여성의 경우 연평균 14.6% 증가하며 남성의 9.7%보다 4.9%포인트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19세 이하 여성은 6.0%포인트 , 20~64세는 2.6%포인트 높았다.

인구 1만명당 성병환자는 30·40대는 연평균 증가율이 감소했으나 10대와 20대, 50대 이상에서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 이상의 증가율은 6% 이상을 기록했다.

남성 성병환자 증가율은 60대 2.4%, 70대 3.3%, 80대 이상 4.4%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올라갔다. 50대 이하에서는 감소했다.

여성은 40대에서만 감소하고 다른 연령층에서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대는 9.9%, 60대는 8.7%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인구 1만명당 성병환자는 80대 이상을 제외하고 여성이 남성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40대에서는 약 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이 많이 걸리는 성병은 ‘항문생식기의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36.2%), ‘달리 분류되지 않은 주로 성행위로 전파되는 기타질환’(19.9%), ‘임균성 감염’(14.6%) 순이었다.

여성은 ‘편모충증’(48%)이 절반에 가까웠으며 ‘항문생식기의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31.8%), ‘달리 분류되지 않은 주로 성행위로 전파되는 기타질환’(7.7%)이 그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여성은 50대 이하에서 편모충증이, 60대 이상에서는 항문생식기의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이 많았다.

남성의 경우 30대 이상에서는 항문생식기의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이 가장 많았고, 10대에서는 임균성 감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병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 중 보험자 부담금은 2006년 121억원에서 2010년 156억원으로 연평균 6.5% 증가했다.

19세 이하는 같은 기간 3억6000만원에서 5억3000만원으로 연평균 9.6% 증가하고 20~64세는 110억원에서 141억원으로 매년 6.3% 늘었다. 65세 이상에서는 7억5000만원에서 10억원으로 7.3%씩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석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노인인구 증가와 노인 성생활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발기유도제의 개발 등으로 노인 연령대의 성생활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에 대한 관리나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성병의 발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