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22일‘국제통화기금(IMF)의 중국 파급 효과 보고서(Spillover Report) 주요 내용과 시사점’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IMF는 보고서에서 “수출중심의 성장에서 벗어난 리밸런싱(불균형 재조정)이 필요하며 위안화 절상과 함께 구조적 개혁이 증가하면 세계 경제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평가했다는 것이 재정부의 설명이다.
아울러 위안을 절상하면 중국 성장은 다소 둔화되겠지만 아시아권 다른 나라를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봤다.
따라서 중국의 리밸런싱과 구조개혁은 한국 경제 성장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란 평가다.
IMF는 금융부문 파급효과에 대해 “중국의 저축 증가세가 지속되면 중국 내 자산 인플레 가능성이 있다”며 “인민은행의 국내채권, 외화자산 매입은 선진국 채권매입 확대와 채권수익률 하락을 불러와 신흥국으로의 자본유입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외환보유액 구성변화 부문에서는 중국이 외환보유액 중 1000억달러를 달러 채권에서 신흥국 채권으로 바꾸면 미국 12bp(1bp=0.01%포인트) 등 선진국 국채금리는 6bp 올라가고 신흥국 국채금리는 48bp 떨어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