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장들 "서민금융 확충해야"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주요 시중은행장들이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으로 저소득 가계의 은행대출 이용기회가 제약될 수 있으므로 서민금융 확충 등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22일 서울 소공동 한국은행 본관에서 김중수 한은 총재 주재로 열린 '금융협의회'에서 은행장들은 "이번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의 영향으로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총재는 "오랜 기간에 걸쳐 누적되어온 가계부채 문제를 단기간 내에 해결하기는 어려우므로 정책당국과 민간부문이 협조하면서 꾸준하고 의연하게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주택담보대출의 고정금리부 전환에 대해 일부 참석자들은 "우리나라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변동금리부 대출의 금리가 상당폭 낮은 데다 대출의 중도상환 및 재차입이 용이해 변동금리부 대출의 고정금리부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이 중에는 "고정금리부 대출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은행이 그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주택저당증권(MBS) 및 커버드본드(Covered Bond) 등 장기채권 발행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도 있었다.

또한 일부 은행장은 "향후 주택매매가격은 최근의 수도권 보합세, 지방 상승세가 대체로 이어지고 전세가격의 경우 가을 이사철이 다가오면서 상승세가 다시 확대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김치본드 투자제한 조치와 관련, 은행장들은 해당 조치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한편 은행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유로지역 재정위기 문제에 대해 은행장들은 "21일 유로지역 정상들의 국가채무위기 해결방안에 대한 포괄적 합의가 이루어짐에 따라 위기의 확산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국가채무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된 것은 아니므로 향후의 진전상황을 계속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한목소리를 냈다.

이어 김 총재는 최근 바젤위원회(BCBS)가 바젤Ⅲ에 의한 유동성 규제 시 우리나라의 산업금융채권 및 중소기업금융채권을 고유동성자산으로 인정하기로 한 데 대해 정책당국이 관련 국제회의에서 국내은행의 건의사항이 반영되도록 노력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날 금융협의회에는 민병덕 KB국민은행장, 이순우 우리은행장, 조준희 IBK중소기업은행장, 김정태 하나은행장, 하영구 한국씨티은행장, 김용환 수출입은행장, 김태영 농협 신용대표 이사, 이주형 수협은행장 등 9개 은행 대표가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