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국정조사 특위 소속 민주당 간사인 우제창 의원은 24일 김진표 원내대표 등과 함께 부산을 방문, 부산저축은행 피해자들과 면담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민주당의 저축은행 피해 구제방안을 발표했다.
우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저축은행 자산 매각(약 3000억원) △부실책임자의 은닉 재산 환수(약 350억원) △부실 책임자의 소장품 환수(약 1200억원) △부당인출 예금 환수(약 85억원+α) △SPC(특수목적법인) 채권 환수(약 6400억원) △파산재단경비 절감(약 70억원) 등을 통해 1조1000억원의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저축은행 피해자 보호를 위해 최대 3300억원을 배당, 금년 중 피해액의 60%, 내년에 나머지 40%를 예금보험공사가 대신 피해자들에게 지급한 뒤 사후 환수액 등을 통해 정산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부산저축은행 등 올해 초 영업정지된 7개 저축은행 투자자들의 피해규모는 5000만원 초과예금 2173억원, 후순위채권 1259억원 등 3432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후순위채권에 대해서는 불완전판매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예금 또는 손해배상채권으로 전환, 5000만원 초과예금과 동일하게 전액 보전해주되 저축은행 부실 및 비리에 책임이 있는 인사나 이들의 특수관계인은 보호 대상에서 제외토록 했다.
우 의원은 "보해저축은행 후순위채 100억원의 경우 도피 중인 로비스트 이철수씨의 지인이 투자한 자금으로, 불법자금의 개연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