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중소기업 대출의 경우 6% 이상의 고금리 대출 비중이 절반에 육박하고 있다.
25일 한국은행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 고객 기준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중 연 5% 이상의 이자를 주는 예금은 0.4%로 전월보다 0.2%포인트 줄었다.
이자가 연 5% 이상인 예금 비중은 지난해 1월 10.8%에 달했지만 그 다음달인 2월 이후로는 16개월째 2% 미만 수준이다.
또한 6% 이상 정기예금의 비중은 지난 2009년 2월 이후 28개월째 1% 미만이며 지난해 6월 이후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는 한국은행이 지난해 7월 이후 1년 새 기준금리를 1.25%포인트 인상했음에도 은행들이 예금금리를 올리는 데 인색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반해 은행들은 중소기업 및 가계대출 금리를 적극적으로 올리면서 고금리 대출 비중은 증가했다.
가계대출 중 이자가 연 6%를 웃도는 대출의 비중은 5월에 17.2%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보다 0.5%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지난해 4월 이후 13개월 만에 최고치다.
7% 이상 이자를 받는 대출 비중은 7.4%로 작년 2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중기대출의 경우 6% 이상 비중은 44.3%로 전월보다 2.2%포인트 늘어나면서 절반에 육박했다.
6% 이상 중기대출은 지난해 11월 29.5%에서 그해 말 33.1%로 증가했고 올해 2월 이후부터는 40%대로 올라섰다.
대기업 대출 중 6% 이상 대출 비중은 지난 5월 전체의 19.8%로 전월보다 3.4%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3월의 30.9%에 비해서는 11.1%포인트 줄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은행권이 예대마진에 따른 이자 챙기기에 나선 결과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