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폴트 불똥 튈라"…美 지방정부 '비상대책' 마련 분주

(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미국 연방정부의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자 주정부들이 잇따라 비상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연방정부가 디폴트에 처하면 주정부에 대한 지급 기능이 중단되거나 축소돼 연쇄충격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25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는 26일 채권 발행 대신 브리지론(단기대출)을 통해 50억 달러를 조달할 계획이다. 버지니아주도 연방정부의 지급기능이 일시적으로 마비되면 주재무부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매릴랜드주는 최근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트리플A(AAA)' 등급인 주정부 채권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자 지난주 예정됐던 채권 발행 일정을 미뤘다.

주정부를 비롯한 미국의 지방정부들은 연방의회가 부채한도 증액에 합의해도 안심할 수 없는 처지다. 이미 재정이 약해질 대로 약해진 상황에서 부채한도 증액안에 대규모 재정감축 계획이 포함되면 연방정부의 지원 규모가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연방정부의 지원이 주정부 재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분의 1에 달한다. 주정부들은 특히 연방정부와 함께 비용을 부담하는 저소득층 의료보험 프로그램인 메디케이드에 대한 지원이 끊길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FT는 지적했다.

이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주 연방정부의 재정적자 감축 조치만으로도 지방채의 신용등급을 강등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스티브 머피 S&P 미국 신용등급 부문 책임자는 "(지방정부에 대한) 연방정부의 역할이 축소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지방정부에 충격을 줄 것"이라며 "미국 주정부들은 이미 한 차례 재정감축에 나선 만큼 재정 개선에 나설 만한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최근 수년간 세입이 줄면서 미 주정부의 재정적자 누적액은 5000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그나마 최근 강도 높은 재정적자 감축안을 시행한 결과다. 지방정부 디폴트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인한 투자자들의 이탈로 혼란을 빚었던 미 지방채시장은 올해 들어 겨우 안정을 되찾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