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 소비자물가를 발표하는 통계청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고 언급했을 만큼 예상을 훌쩍 뛰어넘은 수치다. 무엇보다 집중호우의 영향이 컸다. 채소 및 과일 가격이 물가상승세를 주도해 전월비로는 0.7% 상승했다. <관련기사 3면>
올 상반기 정부는 "하반기에는 물가가 소강상태에 접어들 것"이라고 호언장담했지만, 그 결과는 참혹한 수준이다. 일단 채소류 가격만 보면 전월보다 21.5% 상승했는데, 이는 1985년 이후 2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여름철 장마는 예상가능한 변수라는 점에서 정부가 대책 마련에 소홀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에 따라 재정부는 오는 4일 농산물 수급을 관리하는 현장에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연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이른바 '근원물가'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라 2009년 5월(3.9%) 이후 2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근원물가는 전달보다 0.3% 올라 9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4.7%라는 수치는 올해 정부가 제시한 물가목표 달성도 어렵게 할 전망이다. 7월까지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3%인데, 앞으로 3.44%는 나와야 4%를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넷째주 기습폭우의 영향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 정유사 휘발유 가격 100원 인하 종료로 석유 가격이 오름세라는 점에서 8월 소비자물가도 역시 4%대를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또 전기요금과 일부 지자체들의 공공요금 인상, 여름 휴가철 성수기 등의 영향도 감안해야 한다.
정부는 오는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관건이라는 입장이다. 채소류 인상에 따른 기저효과로 오는 9월에는 물가가 다소 완화될 전망이라는 것. 하지만 기상여건과 추석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상태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중부지방 집중호우 및 이른 추석의 영향으로 채소·과실류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는 등 8월 소비자물가는 4%대를 기록할 것"이라며 "9월에는 기저효과로 물가상승세가 3% 이내로 흡수되는 등 완화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