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Mnet] |
오디션 응시자들의 개성을 인정하고 각기 다른 시각을 가진 심사위원들의 평가 결과를 존중하기 위해 지역 예선 과정에 '슈퍼패스' 제도를 도입한 것.
'슈퍼패스'는 각 지역에서 진행되는 3차 예선시 심사위원이 사용할 수 있는 권한으로, 한 지역당 1인 심사위원에 한 해 1명을 자기 혼자의 결정만으로 합격시킬 수 있는 제도다.
이를 테면, 3명의 심사위원이 참석하는 3차 지역예선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과반수인 2명이 합격을 인정하거나 3명의 심사위원이 전부 합의해야 가능하다.
이에따라 이번에 새로 만들어진 '슈퍼패스' 제도를 이용하면 과반수 이상의 찬성을 얻지 못하더라도 심사위원의 권한으로 도전자를 다음 단계로 진출 시킬 수 있다.
단, 슈퍼패스는 1인 심사위원에 1번만 사용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보통 한 지역 예선에 심사위원이 3명이기 때문에 지역당 최대 3명이 그 혜택을 볼 수 있는 셈.
슈퍼스타K3 김기웅 사무국장은 "올해 초 고지했던 대로 슈퍼스타K3의 콘셉트는 바로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실제 지난 시즌1, 2때도 그랬지만 자기만의 음악 색깔을 가진 실력있는 친구들이 정말 많다. 이들의 개성을 존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고 했다"며 "뿐만 아니라 다른 색깔의 음악을 하는 심사위원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동시에 보다 더 심사위원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던 중 이 같은 제도를 도입하게 됐다"고 배경을 밝혔다.
한편, 대국민 오디션 '슈퍼스타K3'는 지난 3월 ARS와 UCC를 통해 오디션 접수를 시작해 4월부터 7월까지 장장 3개월에 걸쳐 국내 8개 도시와 미국, 중국, 일본 해외 3개국 5개 지역에서 지역 예선을 치렀다. 오는 12일 금요일 밤 11시에 첫 방송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