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업계의 한 관계자는 4일 "낙농가가 주장하는 173원 인상과 유업체가 주장하는 81원 인상은 그 괴리가 매우 크지만, 최종 협상 테이블에서 적정한 협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또다른 유업체 관계자 역시 "어느 한 쪽의 손을 일방적으로 들어줄 수 없는 입장이기 때문에 양측이 주장하는 금액의 중간 정도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며 대략 120원 안팎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120원 인상이 적용되면 기존 ℓ당 704원이던 원유 가격이 824원으로 올라 납품단가가 15% 이상 상승하는 셈이다.
때문에 유업계는 낙농육우협회가 주장하는 것처럼 농민들이 우유를 버리는 최악의 우유대란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젖소 농가들은 당장의 생계와도 직결돼 있기 때문에 낙농육우협회의 주장대로 '공급 중단' 사태는 없을 것이라는 게 유업계 측의 관측이다.
하지만 낙농육우협회의 입장은 다르다.
배종식 낙농육우협회 부장은 "서울우유, 매일유업, 남양유업 등 유업계는 낙농가와 협상하는 게 아니라 정부를 상대로 거래하고 있다"며 "정부로부터 소비자가격 인상을 암묵적으로 허락받아야만 자신들도 원유 가격을 인상하겠다는 논리를 펼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는 구매 단가가 오른 만큼 출고가(소비자가격)도 높여 적정 수익을 올리겠다는 뜻이다. 즉 유업계가 손해를 보면서까지 농가에 원유 가격을 높여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뜻이다.
실제 국내의 한 유업체 고위 임원은 "흰우유의 경우 매년 3% 정도의 영업이익을 내고 있지만 이번 농가의 요구대로 30% 가까이 가격을 인상한다면 당장 올해부터 당기순익이 적자로 돌아설 것"이라고 토로했다. 유업체들도 정부의 물가억제 정책과 낙농가의 가격인상 사이에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관계자는 "이미 이번주 초에 농식품부에서 유업체 대표들을 모아놓고 농가와의 원유가격 인상문제를 조속히 매듭지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면서도 "또한 농가의 납품 가격이 인상되더라도 소비자가격만큼은 절대 올리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