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등에 따르면 S&P는 이날 성명을 내고 재정적자에 대한 우려 때문에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기존 'AAA'에서 'AA+'로 한 단계 낮췄다고 밝혔다.
S&P는 성명에서 "미국 의회와 행정부가 최근 증세에 합의하지 못한 점을 반영했다. 증세는 중기적으로 재정적자를 줄이는 데 필수적인 조치"라고 밝혔다.
S&P는 또 미국이 부채상한 증액 협상을 타결했지만 재정적자를 줄이는 데는 충분치 못한 결정이라고 평가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세계 최고 경제대국인 미국의 국채 신용등급은 영국이나 독일, 프랑스, 캐나다 등보다 낮아지게 됐다.
S&P는 향후 12~18개월 내에 신용등급을 추가 강등시킬 수 있다면서 미국의 신용등급 전망도 '부정적(negative outlook)'으로 유지했다.
그간 국제 신용평가사들이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여러차례 경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는 실제 강등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예측해왔다. 미국의 신용등급이 전 세계 국가들의 신용등급을 결정하는 기준이기 때문에 향후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 등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S&P는 1941년 이후 70년 동안 미국 신용등급을 최고 수준인 'AAA'로 유지해왔다.
S&P는 이날 신용등급 하향조정에 앞서 미국 정부에 이런 방침을 설명했지만 정부 측은 국내 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 계산에서 수조 달러의 오류가 있다고 지적, 등급 강등이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S&P는 지난달 14일 '믿을만한' 조치가 없으면 미국의 신용등급을 낮추겠다고 경고한 대로 이날 신용등급을 내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