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에는 한강 3개, 금강 3개, 영산강 2개, 낙동강 8개 등 총 16개의 다기능보가 설치 중으로, 공정률이 98%에 달한다. 현재 소수력발전, 공도교 등에 대한 마무리 작업이 진행 중이다.
보의 명칭은 지자체,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해 대부분 해당 지명에 따라 결정됐다. 여러 시·군에 걸쳐 보가 위치한 경우에는 지명을 조합하거나 지역 특색을 살린 명칭으로 결정됐다.
특히 16개의 보 중 10개는 사용해 오던 임시 명칭을 그대로 정식 명칭으로 사용하게 됐으며, 금강의 금강보는 공주보, 금남보는 세종보로 명칭이 바뀌게 됐다. 부여군과 청양군에 걸쳐서 보가 위치한 부여보는 지역 특색을 살린 백제보로 결정됐다.
또 여러 시·군에 걸쳐서 보가 위치한 함안보, 합천보, 강정보는 지역의 지명을 조합해 함안창녕보, 창녕합천보, 강정고령보로 결정됐다.
4대강추진본부 심명필 본부장은 "16개의 다기능보는 물확보, 홍수조절 등의 보로서의 기능뿐 아니라 지역의 랜드마크로서 지역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