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1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25%로 동결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지난달에 이어 석 달째 발이 묶이게 됐다.
금통위가 물가상승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결정을 하게 된 배경에는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하락과 더블딥 우려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중수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국내외 금융경제상황을 종합 검토한 결과 이번 달에는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고 해외 위험요인 등 국내외 여건의 변화추이를 좀 더 살펴보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했다”며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대외경제 불안 요소가 기준금리 결정에 크게 작용했음을 밝힌 것이다.
한은은 목표치인 4% 대 물가상승률을 유지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때문에 시장과 전문가들은 8월에 한은이 금리를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김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동결(3.25%)을 결정하면서도 “물가상승이 높은 수준”이라며 “앞으로 물가안정 기조가 확고히 유지되도록 중점을 두겠다”고 말해 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그러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미국 신용등급을 AA+로 강등하고 유럽의 재정위기가 다시 고개를 들면서 상황이 급반전했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큰 혼란에 빠진 가운데 더블딥 우려가 겹치면서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리기 힘들게 된 것이다.
유가를 중심으로 원자재의 국제가격이 폭락한 것도 한은의 운신의 폭을 넓혔다.
향후 2년간 기준금리 동결을 언급한 미국을 중심으로 유럽중앙은행(ECB),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주요국의 금리동결 기조도 한은의 결정에 한 몫했다.
전문가들은 문제는 지금부터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일단 글로벌 경제의 경기침체 우려가 시급한만큼 금리동결 기조에 한 배를 탔지만 물가상승 요인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경제를 살리기 위해 물가를 포기할 경우 그에 따른 중장기 부작용이 클 것"이라면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증가폭이 다소 축소됐지만 은행권 가계대출이 6개월 연속 늘어나고 있는 점은 금리동결을 선택한 한은에게 부담으로 다가올 위험요인 가운데 하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