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출과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110.1%로 지난 2008년 4분기 114.6%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GDP 대비 수출입 비중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일어난 2008년 4분기 114.6%를 정점으로 2009년 1분기 99.5%, 2009년 2분기 93.0%, 2009년 3분기 95.1%, 2009년 4분기 95.6%, 2010년 98.0%로 계속 90%대를 유지했다.
이후 2010년 2분기 103.0%로 다시 100%를 넘어섰고 2010년 3분기 102.8%, 2010년 4분기 104.0%, 올해 1분기 114.6% 등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우리나라 대외의존도는 다른 나라보다도 크게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기준 연간 GDP 대비 수출입 비중은 95.9%로 일본(24.8%), 미국(25.1%), 중국(49.1%), 영국(57.7%), 독일(76.7%)에 비해 크게 높았다. 또 2010년에는 연간 비중이 102.0%로 전년보다 대폭 확대돼 다른 나라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외의존도를 보여주는 또 다른 지표인 국민총소득(GNI) 대비 총수출입 비중 역시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GNI 대비 총수출입 비율은 2008년 110.7%로 사상 처음 100%를 넘어섰다가 2009년에는 98.8%로 크게 떨어졌으나 지난해 105.3%로 다시 반등했다.
이 가운데 총수출 비중은 54.0%, 총수입 비중은 51.2%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