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근들에 따르면 범현대가 사장단은 16일 기자회견을 갖고 정 전 대표와 현대중공업이 중심이 돼 5천억원 규모의 사재를 출연해 사회복지재단인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한다는 내용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정 전 대표가 5천억원 가운데 절반 규모를 기부하며, 자신의 현대중공업 지분과 현금 등을 내놓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측근들은 전했다. 현대중공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금과 주식도 기부될 것으로 알려졌다.
정 전 대표가 현대중공업의 주식 10.8%(3조원 미만)를 보유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자기 재산의 10% 미만을 사회에 환원하는 셈이 된다.
한 측근은 “정주영 명예회장의 10주기를 맞은 지난 3월부터 범현대가의 사재출연이 검토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 전 대표가 우리 사회의 양극화를 안타까워했으며 평소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이야기해왔다”며 사재 출연 배경을 설명했다.
특히 이 측근은 이번 사재 출연과 정 전 대표의 대권행보와의 관련에 대해 “대권 행보와는 전혀 무관하다”며 “정 전 대표가 내일 기자회견에도 불참할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다른 관계자도 “정 전 대표가 평소 ‘현대중공업 지분은 수십만명의 일자리에 대한 기금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함부로 쓸 수 있는 돈이 아니며, 쓰게 된다면 좋은 방법이 있는지 찾아보겠다’고 해왔다”며 사재 출연이 대권행보의 일환으로 해석되는데 부담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정치권에서는 이번 사재 출연이 정 전 대표의 대권행보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대권 주자로서 현대중공업 지분 문제를 국민들이 납득할 만한 방식으로 ‘해결’해야 하는 와중에서 ‘사회적 환원’이라는 해법의 일단을 선보였기 때문이다.
한편에서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등록금과 보육 등 복지문제가 부상하고 있어 재산의 사회적 환원이 정 전 대표의 복지 비전을 드러내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보는 긍정적 관측이 나온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재산으로 국민의 환심을 산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일각에서는 정 전 대표의 사재출연이 ‘박근혜 대세론’을 일정 부분 견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한 여권 인사는 “이번 사재 출연이 여권 잠룡 중에는 박근혜 전 대표 외에도 정 전 대표가 있음을 상기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앞서 정 전 대표는 지난 2002년에도 대선 출마를 앞두고 자신의 현대중공업 지분을 정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주주권을 행사할 수 없는 ‘명의신탁’ 방식을 고려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