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부 기자 |
8여년 전 유학생 신분으로 친구의 아버지에게서 흥미로운 얘기를 들었다. 베이징 차오양취의 고급 아파트에 사는 친구의 집 저녁식사자리에서다.
친구 아버지는 여느 중국인들이 외국인을 만나 그러하듯 당시 최고의 화두였던 한일 월드컵과 한국드라마 얘기로 한국 띄우기에 여념이 없었다.
이야기가 무르익을 무렵 우리의 대화는 ‘남북통일’이야기로 옮겨졌다.
당시 친구의 아버지는 베이징시 정부에서 일하는 간부였다.
나와의 대화가 부담 없었는지, 아니면 작정을 하고 한 말인지는 알 수 없지만 그때 그가 한 말은 보통 중국 공산당 간부의 입에서 나올만한 말은 아니었다.
‘정말 중국은 한반도 통일을 원하나’는 나의 군더더기 없고 단순한 질문에 그의 대답은 보통 중국정부의 공식 입장과는 조금 거리가 있어 보였다.
“적어도 공산당 요직에 몸을 담고 있는 사람이라면 어느 누구도 원치 않는다”란 그의 말은 내게 ‘역시나’라는 생각을 갖게 함은 물론 그날 기숙사로 돌아가는 내 발걸음은 내내 무거웠다.
물론 중국이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지도 반대하지도 않는다는 것은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이다.
한 정부 당국자는 “중국이 한반도 통일에 대해 현상유지를 바랄뿐” 이라며 “한반도 통일이 중국에 미치는 부담을 해소시키는 게 급선무”라고 조언한다.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신뢰가 부족한 상황에서 미국은 중국의 부상을 견제해야하고 동북아 안보구도를 어떻게 유지시켜야 하는지를 고심하고 있는 동안, 중국은 한국으로의 흡수 통일로 인한 미국의 세력 확장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통일된 한반도가 중국을 물론 동북아 및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설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정부 당국자는 “통일은 한국이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이 지원 할 수 있는 외교구도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라며 외교적으로 우리의 운명을 개척해야 한다는 인식이 약하다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친구의 아버지는 8년이 지난 지금 공산당 내 적잖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고위간부가 됐다. 물론 그가 모든 중국을 대변하지 않는다. 또 흐른시간 만큼 그의 생각도 달라졌을지 모른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우리의 통일을 위해 주변국들의 의식 전환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외교력 발휘는 절대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