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찰참가의향서(LOI)를 냈던 3개 사모펀드인 티스톤, 보고펀드, MBK파트너스 가운데 티스톤과 보고펀드가 예비입찰에 참가하지 않으면서 유효입찰이 무산됐기 때문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민유성 티스톤 대표는 4조원에 이르는 인수자금은 마련했지만 전체 자금에서 차지하는 외국계 투자자금 비율이 예상보다 높아졌고, 사모펀드 인수에 대한 부정적 여론도 거세 금융당국으로부터 인수 허가를 얻기가 쉽지 않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보고펀드 또한 전략적 투자자(SI) 유치가 어려워 예비입찰 불참을 시사해왔다.
한편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고시한 바와 같이 유효경쟁 불성립으로 MBK파트너스의 예비입찰 참여에도 불구하고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은 사실상 중단됐다.
때문에 그동안 우리금융 조기민영화를 위해 무리하게 사모펀드를 끌어들인 정부로서는 금융실책에 대한 부담이 커지게 됐다.
반면 우리금융의 자체 민영화 방안이 다시 탄력을 받게 됐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앞서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의 국민주 매각방식에 대해 언급하며“예보지분 56.97% 중 일부는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블록세일(대량매매)해 `경영감시 가능한 주요주주군’을 확립하고, 나머지는 국민주 지분으로 매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우리금융의 자체 민영화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앞서 이팔성 회장을 중심으로 우리금융이 자체 민영화를 추진한 바 있다는 주장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번 매각이 무산된다면 차기 정권에 의한 기약없는 매각 일정을 기다리기보다는 조기 민영화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정부와 금융당국의 결단이 필요하고 지적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