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시장의 선언은 내년 총선ㆍ대선의 지형을 가를 서울시장 보궐선거와 직결되기 때문에 주민투표에 따른 정치적 여파를 감안, 한나라당내 막판 `전략 수정’ 논쟁으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들이 주민투표 지지 의사를 직ㆍ간접적으로 밝혀 왔다는 점에서 여권의 부담이 만만치 않다.
한나라당내에서조차 오 시장의 최종 결정에 “적극적인 지원을 계속해야 한다”, “오 시장은 당과 다시 논의해야 한다”며 이견을 보였다.
당론으로 `주민투표 적극 지원’을 결정한 당 지도부에 대한 책임론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시장직을 걸면 중앙당으로서는 더는 밀어줄 수 없다”고 했던 홍준표 대표의 입장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홍 대표는 오 시장의 '시장직 연계' 결정이 알려지자 이날 예고했던 기자회견을 취소, 우회적으로 불만을 드러냈다.
`신임투표가 아닌 정책투표‘라고 주장해온 홍 대표가 입장에 변화를 보일지 주목된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마지막까지 만류했지만 이렇게 된 이상 최선을 다해 서울시민과 함께 이기는 방법으로 가야 한다”며 “당의 총력 지원 기조는 그대로 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남경필 최고위원은 “오 시장의 결정을 단호히 반대한다”며 거취에 대해 `당과 재논의‘를 요구했다.
야권은 “투표율을 높이려는 정치놀음을 중단하라”며 주민투표 철회를 주장했다.
민주당 이용섭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얼마 전 뜬금없는 대선 불출마 선언을 통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1단계 압박전술을 획책하더니, 오늘은 서울시장직을 갖고 2단계 협박작전을 펴고 있다”며 “오 시장의 행태는 시민들과 흥정하려는 무리배의 행태로서, 서울 시민들의 높은 정치의식을 너무 가볍게 본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자유선진당 임영호 대변인은 “시장직까지 건 서울 시장이 갖는 중요성과 책무를 간과했다는 비판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며 “복지 포퓰리즘을 막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시민에 대한 봉사의무도 소홀히 할 수 없다. 한마디로 과유불급”이라고 비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