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지방 주택경기 활성화가 원인이지만 제2금융권의 대출비중이 높아 위험에 대비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비수도권의 예금취급기관 주택대출 잔액은 113조4812억원으로 2009년 12월 말 97조724억원보다 16.1% 늘었다.
특히 같은 기간 서울, 인천, 경기지역의 수도권 주택대출 잔액은 240조7730억원에서 263조2836억원으로 9.3%늘어나는데 그쳐 비수도권 주택대출 증가율이 수도권에 비해 1.7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주택대출 잔액은 6월 말 현재 376조7648억원으로 지난해 말(338조4754억원)보다 11.3% 늘었다.
시·도별로는 전남이 35.0%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고, 전북(24.8%), 인천(23.0%), 대전(22.5%), 부산(22.3%), 광주(21.9%) 등도 20%가 넘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서울의 주택대출 증가율은 7.0%로 대구(4.6%), 충북(4.7%) 다음으로 낮았다.
가계대출 증가율도 비수도권이 앞섰다.
2009년 말부터 지난 6월 말까지 수도권의 가계대출은 362조9540억원에서 402조8898억원으로 11.0%, 비수도권은 187조7826억원에서 214조9630억원으로 14.5% 각각 늘어났다.
전국 가계대출은 550조7366억원에서 617조8528억원으로 12.2%의 증가율을 보였다.
가계대출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21.4%의 증가율을 기록한 인천이었고, 전북(19.8%), 부산(19.1%), 전남(17.8%), 경남(17.5%), 대전(17.1%) 순이였다.
서울의 가계대출은 16개 시·도 가운데 가장 적은 8.7%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은은 이에 대해 “비수도권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없고 규제가 약한 비은행예금취급기관(제2금융기관)의 점포가 많이 분포하고 있어 수도권보다 주택대출이 늘어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도 주택대출 수효을 늘었다는 해석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지방은 대출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의 이용도가 높은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투기성 자금이 가세해 버블이 발생하지 않토록 조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