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내에 판매된 주요 재간접 헤지펀드 상품은 코스피 대비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재간접 헤지펀드는 국내 운용사를 통해 해외 헤지펀드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삼성증권 '북극성알파1호'는 이달들어 지난 24일까지 수익률 2.12%로 집계됐다. 대우증권 'KDB골디락스1호' 1.73%·동양종금증권 '한국투자멀티CTA' 1.29%의 수익을 올렸다. 미래에셋증권 'KTB글로벌CTA1호'는 -0.14% 수익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는 17.74% 하락했다. 주요 재간접 헤지펀드 가운데 이달 들어 코스피나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의 수익률을 밑도는 상품은 없다.
재간접 헤지펀드의 선방은 특정 자산군에 집중적으로 투자하지 않는 `CTA(Commodity Trading Advisor)‘ 전략 효과 덕분이다. CTA는 주식·채권·상품·외환 등 다양한 기초자산의 상승과 하락추세를 포착해 시장 상황과 상관없이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이다.
10% 이상의 수익률을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만족스러운 성적은 아니지만 지수 폭락 과정에서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헤지펀드의 장점이 모처럼 발휘된 셈이다.
헤지펀드의 전략은 종류가 다양하고 효과도 천차만별이어서 일반투자자가 무작정 투자하면 피해를 볼 수도 있다.
정진균 삼성증권 대안투자(AI)팀장은 "헤지펀드의 주 투자 목적은 주가 하락, 금리 상승 등 시장 방향성에 대한 고민을 덜어주고 낮은 변동성으로 예금 금리의 2~3배를 추구하는 것"이라며 "검증된 상품을 시장 상황에 따라 신중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