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1/08/26/20110826000025_0.jpg)
Q. 최근 허리디스크 진단을 받았는데 수술을 꼭 해야 하나.
허리디스크는 앉아 있을 때 발생하는 압력이나 잘못된 동작의 반복, 과체중으로 인한 디스크 압력이 원인이 된다. 이러한 디스크의 변화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도 통증도 없이 진행되는데, 어느 순간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서 통증을 유발하며 허리디스크라는 진단을 받게 된다.
수술 여부는 허리디스크 환자에게 가장 큰 고민거리다. 최근 허리디스크 수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수술 시 전신마취나 장기간의 재활은 환자에겐 여전히 부담이 되기 마련이다.
허리디스크의 수술 여부는 자기공명영상(MRI) 같은 정밀한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의 자각증상, 진찰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디스크 파열 여부와 신경관이 70~80% 이상 좁아졌느냐는 점이다. 이런 상태가 되면 일상생활이 불가능해지고 신경마비 증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수술이 불가피하다.
단순히 빠져 나오거나 수핵(디스크)이 팽창된 상태라면 비수술적인 처치로도 충분히 통증제어를 할 수 있다. 이는 전체 환자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환자의 걱정과는 달리 대부분이 수술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Q. 비수술 치료는 어떤 것이 효과적인가.
비수술적 치료로는 운동, 물리치료, 신경성형술, 경막외차단술(통증주사치료) 등이 있다. 대표적 비수술 치료인 경막외내시경을 통한 신경성형술은 척추 뼈 안에서 신경을 싸고 있는 경막의 바깥 면을 통해 2mm 정도의 미세한 내시경을 삽입해 모니터를 보면서 통증을 일으키고, 염증을 발생하는 부위를 정확히 찾아 내 치료한다.
레이저와 고주파열을 이용해 집게로 제거하지 못한 염증과 부종 등의 미세한 부분까지 제거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해 환자의 90% 이상에서 증상이 호전되는 치료법이다.
이 시술의 가장 큰 장점은 전신마취로 인한 수술에 대한 두려움이 적고, 치료효과와 회복이 빠르다는 것이다. 절개나 마취 없이 치료가 가능해 시술시간도 10~30분 내외로 짧으며 시술 후 약 1시간 후에는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도 빠르다.
노인 뿐 아니라 잘못된 자세와 식습관의 변화로 최근 증가하는 젊은층의 척추디스크 환자도 짧은 수술시간과 회복시간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지 않고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디스크탈출증, 척추관탈출증, 척추전방전위증 등 대부분의 척추질환에 적용이 가능하다. 물리·약물치료 등 보존적인 요통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만성요통 환자, 척추수술 후 통증이나 저림이 지속되는 환자에서도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Q. 신경성형술을 받을 때 주의해야 할 점과 수술 후 관리는.
척추는 몸의 기둥이라고 할 만큼 정교하고 미세한 시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수술 치료라 할지라도 병원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시술 경험이 많고 다양한 수술사례가 입증 된 병원에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시술 후 관리도 중요하다. 척추 통증은 아무리 치료가 잘 됐더라도 주변 근력이 매우 약해져 있어 통증이 잘 사라지지 않으며, 통증의 빈도가 빈번하기 때문에 꾸준한 운동을 통해 근력을 효과적으로 강화시켜야만 한다.
밸런스 운동, 짐볼 트레이닝, 밴드 트레이닝 등 다양한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이 있으므로 막연하게 운동을 하기보다는 자신의 질환 상태에 따라 운동치료사로부터 맞춤지도를 받으면 시술 이후의 잔여 통증 완화, 관절 근력 강화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