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전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본회의 출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무상급식을 실시 중인 지방자치단체들도 있듯이 각 지자체 형편과 상황에 따라 하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필요없는 투표였다는 뜻이냐”는 질문에는 “주민들이 결정하면 되는 문제였다. 정치권이 나설 문제는 아니었다”고 답변했다.
박 전 대표의 이날 발언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주민투표 과정에서 내건 '전면 무상급식은 망국적 복지포퓰리즘'이라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재정 여건에 따라 복지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국형 맞춤 복지’도 가능하다”면서 '한국형 맞춤복지'의 핵심으로 ▲소득 보장과 사회 서비스간 균형 ▲선제적 맞춤형 복지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등 3가지를 거론했다.
민주당이 주민투표 결과를 '보편적 복지의 승리'라고 평가한 데 대해서는 “아전인수격으로 확대 해석해서는 안된다. 복지 확충은 맞지만 뭐든지 복지는 무상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 전 대표는 주민투표를 지원하지 않은데 대한 서운함도 있다는 지적에 대해 “주민투표는 어떻게 생각한다는 것을 말씀드리지 않았느냐”고 반문하면서 “책임론이라는 단어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네”라고 밝혔다.
박 전 대표는 복지 당론을 정한 뒤 서울시장 후보를 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복지에 대한 당의 방향이나 정책이 재정립돼 당론이 정리되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면서 공감을 표시했다.
그는 “재보선 지원유세도 그 이후에 가능한 것이냐”는 질문에는 “모든 얘기에 앞서 당의 입장 정리나 당론을 국민이 확실하게 알 필요가 있다”고 답변했다.
이는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의 복지 당론을 받아들이면 서울시장 보궐선거 지원 여부도 논의할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한편 이날 정치권에서는 박 전 대표의 10월 재보선 지원 여부를 놓고 찬반 의견이 쏟아졌다.
김정권 한나라당 사무총장은 라디오에 출연해 “이기는 선거를 위해 가능한 모든 방법이 다 강구돼야 할 것”이라며 “선거대책위원장도 좋고, 선대위원장이 아니더라도 박 전 대표가 지원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저희가 만들어내고, 또 그런 고민도 필요하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친박계인 한나라당 이한구 의원은 “후보자 결정 과정도 밝혀진 것이 없고 어떤 사람이 선정되는 지, 선거의 성격이 어떻게 될 지도 모른다”며 “지금은 이런 것을 얘기하기가 너무 이르다”고 선을 그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