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일시멘트 단양공장 폐열발전설비(회사 제공) |
17일 시멘트업계는 폐열발전설비 도입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과 폐기물 재활용 등 ‘친환경 경영’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시멘트업계는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시황 악화에서도 불구하고, 수백억원을 투자해 폐열발전설비 적극 도입하고 있다.
폐열발전은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구매 전력 사용량 감소와 온실가스 감축 등 효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 6월부터 가동한 한일시멘트 단양공장 폐열발전설비의 경우 시간당 26MW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이는 단양공장 전체 사용량 약 30%에 해당하는 양으로 연간 100억원 이상의 비용절감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또한 한일시멘트 측은 폐열발전설비 가동으로 약 20억원 규모의 탄소 배출권을 확보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동양시멘트도 폐열발전설비(시간당 20MW) 가동을 통해 연간 5만톤 가량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있다. 동양시멘트는 폐열발전설비 추가 도입 등 온실가스 감축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성신양회도 시간당 28MW 규모의 폐열발전설비 도입을 추진 중이며, 연간 8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예정이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최근 정부에서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허용량을 맞추기는 쉽지 않다”며 “하지만 녹색성장이 향후 경제성장과 시멘트업체의 재도약을 가늠하는 지표임은 분명하기 때문에 폐열발전 설비 확충 등 시멘트업계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은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시멘트업계는 폐기물 재활용을 통한 사회적 비용 저감과 환경 부담 완화에도 나서고 있다.
시멘트업계는 폐기물들을 유상으로 구매해 시멘트 대체원료 및 보조연료로 재활용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재활용 설비 등에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소각 및 매립에 따른 사회적 처리비용을 줄이고, 매립지 수명 연장과 환경 부담을 완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외 고효율 여과 집진기를 통해 먼지 배출을 감소시키고 질소산화물 등 오염물질 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다. 또한 하천을 깨끗하게 관리하기 위해 최첨단 오수 정화시설 설치와 인근지역 정화활동 등 주변 환경 개선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시멘트협회 관계자는 “과거 시멘트산업을 굴뚝산업으로 치부해 왔으나 친환경 경영이 더욱 활성화 되면 명실상부한 녹색산업으로 인식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