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애플에 강공 모드 지속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삼성전자가 17일 일본 동경 법원과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법원에 애플 아이폰4S 판매금지가처분 소송을 제기하면서 강한 법적 대응에 나섰다.

일본에서는 아이폰4S 뿐 아니라 아이폰4·아이패드2도 제소 대상에 포함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제소를 통해 일본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UI) 관련 특허를 통신 특허와 함께 권리 침해 이유로 제기했다.

13일 네덜란드에서 통신특허 침해를 이유로 애플 제품에 대해 제기한 판매금지가처분신청이 표준특허의 프랜드(FRAND) 제공을 이유로 기각되자 UI특허를 제기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표준특허는 필수적 특허 기술로 프랜드(FRAND)라는 공정하고, 합리적이고, 비차별적 방식으로 누구에게나 제공할 의무가 있지만 UI 특허는 상대적으로 필수적인 표준특허로 분류될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이재용 사장이 미 스탠포드 대학에서 열린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 추도식에 초대 받아 참여한 가운데 이같은 제소가 이루어진 점에서 삼성전자의 강경한 대응 전략이 엿보인다.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은 이날 오후 6시경 대학에 도착해 잡스의 추도식에 참석했다.

삼성전자는 이 사장의 추도식 참여 이전에도 법적 조치와는 별도라며 강경 대응 방침에 변화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협력사로서의 예는 갖추지만 공방을 벌이고 있는 법적 대응에는 공격적으로 나서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강하게 표현한 셈이다.

일부에서는 이재용 사장이 추도식 참여 과정에서 화해를 모색하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기도 하지만 소송이 진행중인 와중에 약한 모습을 보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삼성전자가 이날 일본에 제소한 특허는 고속 전송채널 송신 단말기의 전력절감을 결정하는 방법인 고속패킷접속(HSPA)과 관련한 표준특허 1건과 비행모드 아이콘 표시, 사용자 중심의 홈 스크린 공간 활용, 앱 스토어를 카테고리별 트리 구조로 표시하는 화면 표시 방법과 연관된 필수 기능에 관한 3건이다.

호주 제소 특허는 데이터 분할전송 시 각 데이터에 특정 부호 부여 기술, 음성ㆍ데이터 송신 시 우선 순위가 낮은 데이터 송신전력을 낮추는 기술, 데이터 송신 전 중요 정보가 아닌 데이터 삭제 기술이다.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이 14일 공항에서 기자들에게 “애플이 최대 거래처라는 점은 존중하겠지만 이익을 침해하는 것은 좌시할 수 없다”며 강경대응을 예고한 대로 법적인 조치를 이어간 것이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이같은 기술에 대한 침해를 이유로 특허 소송과 가처분신청을 확대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