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국무원 환경보호세 검토, 친환경 관련주 好好

(아주경제 김영훈 기자) 중국 국무원이 환경보호세 도입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친환경 관련 기업들이 수혜주로 떠오르고 있다.

5년에 한차례 열리는 전국환경보호대회를 앞두고 국무원은 20일 환경보호 강화를 위한 중점 사업에 대한 의견을 발표했다. 이 의견은 환경보호에 유리한 경제정책과 환경보호세 징수를 연구하겠다고 명시했다. 이와 함께 주요 오염물의 총량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강화하고 환경기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환경보호를 각 지방정부의 재정 예산에 반영해 예산을 단계적으로 늘리고 세수 우대책을 쓰겠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서도 주요 폐기물 총량 감축은 향후 환경보호사업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환경부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상반기 주요 오염물 가운데 화학적산소요구량, 이산화유황, 암모니아 질소 배출량 등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지만 질소산화물 등의 배출량은 오히려 6.17%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출량 감소를 위해서는 정확한 통계 산출과 검측 시스템을 갖추고 각 지역별 특정 오염물 배출을 억제하는 방법을 찾아야 하며, 오폐수 처리 시설, 오수 재활용설비, 쓰레기 침출수 처리시설 등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이 의견은 제시했다.

포털사이트 써우후닷컴은 중국 정부가 환경산업을 적극 장려하게 될 경우 서우촹(首創ㆍ600008), 촹예환바오(創業環保ㆍ600874), 쌍더(桑德)환경(000826) 등의 오수처리 상장사와 룽징(龍淨ㆍ600388), 페이다(菲達ㆍ600526) 등 배기가스 처리 관련 기업이 수혜를 받게 될 것이라며 수혜종목을 소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