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소식통은 “북한이 황금평에 10명 안팎의 직원으로 구성된 사무국을 개설했다”며 “개설 시점은 대략 8∼9월 정도”라고 말했다.
사무국에는 2000년대 개성공단을 총괄하는 중앙특구개발지도국 부총국장을 지낸 최현구라는 인물이 포진된 것으로 알려져 일각에서는 북한이 황금평을 개성공단 형태로 개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된다.
이 소식통은 또 작년 7월 발족한 뒤 대외 투자 유치를 지도·관리하는 국가기관으로 급부상한 합영투자위원회의 부위원장을 2명에서 4명으로 증원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합영투자위는 중국 상무부와 황금평 및 나선특구 합작개발에 합의한 기관이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매제인 장성택 당 행정부장이 이끌고 있으며 김 위원장의 해외 비자금을 관리해온 리철 전 주제네바 북한대표부 대사가 위원장을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투자위에는 김일영, 정진성 부위원장이 있는데 김철진 평건투자개발그룹 회장 등이 추가로 부위원장에 임명됐다고 한다”며 “김 회장은 평양 10만호 주택건설 사업을 총괄한 북한의 경제통”이라고 밝혔다.
다이위린 단둥시 당서기는 지난달 28일 차이나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황금평 개발과 관련해서는 중북 공동관리위가 이미 설립됐다”면서 “시정부는 황금평 공동개발을 위해 72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싱크탱크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황금평에 사무국을 설치하고 투자유치를 서두르는 것은 나선지역에 비해 개발이 뒤쳐졌던 황금평 지역에 박차를 가해 보조를 맞추겠다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북중 양측은 지난 6월 황금평과 나선지구를 공동 관리하는 개발합작연합지도위원회를 구성해 착공식을 했지만 지금까지 황금평에 대한 투자 실적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