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어지는 메모리는 휘어지는 기판(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위에 메모리를 쓰거나 읽거나 지우는 것이 가능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등 플렉시블 전자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기술이다.
그 동안 여러차례 휘어지는 메모리 성질을 갖는 물질들이 보고되기는 했지만 메모리 셀 간의 간섭현상 때문에 소재 한 건당 하나의 데이터만 읽을 수 있었다.
따라서 동시에 수많은 양의 메모리를 처리할 수 없어 사실상 실용화가 불가능했다.
이 교수팀은 유연한 기판 위에 고성능의 실리콘 반도체를 구현한 뒤 전원이 꺼져 있을 때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의 저항메모리를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이 같은 간섭현상을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과학기술(NT)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10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으며 국내외 특허로도 출원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