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8일 “정부가 대북 인도적 지원용으로 2009년 WHO에 지원한 1312만 달러 가운데 694만 달러의 집행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류우익 통일부장관이 지난 5일 방미중 반기문 유엔사무총장과의 면담에서 “유엔기구를 통한 정부 차원의 대북 인도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힌 이후 정부의 첫 번째 후속조치다.
통일부 최보선 대변인은 “지원예산의 집행을 승인하는 통일부 교류협력국장 명의의 공문을 WHO에 발송했다”고 말했다.
이번 인도적 지원은 지난해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정부 자금이 들어가는 첫 대북 지원이다.
WHO는 북한에 의약품과 의료장비, 의료시설 개선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2006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진행해왔다. 1312만달러는 4차 년도 지원분이었지만 그동안 정부는 남북관계 경색 등으로 지원분의 집행을 보류해 왔다. WHO는 공여국이 집행승인을 보류하면 관련 예산을 집행할 수 없다.
WHO는 지난 8월 초 우리 정부에 집행 승인을 요청하는 한편 10월 말 예산 집행에 따른 모니터링 계획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 대변인은 “5ㆍ24조치에도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대한 순수 인도적 지원은 유지한다는 방침과 WHO의 요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했다”면서 “5ㆍ24조치의 토대 위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WHO에 대한 추가 지원을 비롯,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이나 국제백신기구(IVI) 등 다른 유엔 산하 기구와 대북 인도적 지원을 재개할 계획이다.
이들 기구는 북한의 영유아와 어린이, 임산부 등을 대상으로 백신 등 의약품, 의료시설 개선, 영양 개선, 전염병 예방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최 대변인은 “정부 차원의 대북 식량지원 계획은 현재로서는 없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009년까지 이들 기구에 대한 지원을 해왔지만, 남북관계 경색 등으로 지난해부터 지원을 중단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