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 편익 높이려는 R&D 확대된다

  • 최중경 지경부 장관 테크플러스포럼 기조연설<br/>‘산업기술+인문학’ 융합기술硏 내년 2월 설립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정부는 현재 추진 중인 장애인 편익 증진 중심의 ‘국민편익 증진형 기술개발 사업’을 일반 국민의 수요에 부응하고 생활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개발로 확대하기로 했다.
세탁통을 기울인 세탁기, 태양광 배터리 충전기, 점자 휴대전화, LED 목발, 휠체어 이용이 가능한 에스컬레이터가 그런 사례다.

또 10∼30명 인력 규모로 산업기술과 인문학의 융합을 지원하기 위한 인문기술융합연구소(가칭)를 만들기로 했다.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은 9일 경희대에서 열린 제3회 테크플러스 포럼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 장관은 이날 사람 중심의 따뜻하고 창조적인 기술혁신을 위한 ‘연구개발(R&D) 36.5℃ 전략’을 통해 앞으로 일반인 대상 기술개발 과제를 한층 더 많이 찾아내고 관련 예산도 늘리기로 했다.

지경부는 지금은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복지 자동차 개발, 장애인용 음성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 등 장애인 편익 증진 중심의 과제 8개와 장애인 IT 기술인력 양성 및 기반 구축 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올해 90억원, 내년 98억원, 이후 200억원 이상으로 관련 예산을 늘리고 일반인 대상 기술개발 과제도 광범위하게 발굴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에 추진전략과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그동안 R&D는 우리나라 경제, 산업 발전을 주도했으나 그 성과와 혜택이 모두에게 돌아가지 못했다”면서 이런 정책방향 설정의 배경을 전했다.

지경부는 이와 함께 간이 정수기, 대나무 수세미, 자전거용 휴대전화 충전기 등 저개발 국가 수요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정기술’ 과제도 적극적으로 찾아나서기로 했다.

또 내년 2월 산업기술진흥원(KIAT)의 부설 연구소로 인문기술융합연구소를 설립한 뒤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이를 별도의 독립 연구기관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연구소는 인문사회와 산업기술 분야의 소통·융합·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한 허브로서 개방·융합형 지식과 전문인력 교류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사회 예측, 융합분야 정책연구 및 전문가 육성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아울러 지경부는 융합을 주제로 하는 교육과정 신설·확대, 커리큘럼 개발을 통해 대학(원)에서 융합 교육을 확산시키고 인문학과의 융합을 저해하는 불합리한 제도의 개선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지경부는 이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일반인이 참여해 아이디어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집단지성형 융합문화 카페를 만들고 SNS도 폭넓게 활용할 방침이다.

지경부는 특히 과천 과학관의 2배인 연면적 10만㎡ 크기로 산업기술 60년사(史)를 정리, 보전, 전시하고 첨단 신기술을 홍보하거나 체험할 수 있게끔 ‘산업기술 문화공간’을 조성키로 하고 내년 하반기 예산 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에 들어가기로 했다.

지경부와 KIAT가 주최하는 이번 포럼은 ‘기술과 나의 만남, technology@me’라는 주제로 이날부터 10일까지 열리며, 최중경 장관외에 제이 엘리엇 애플 전 수석부사장 등 각 분야 리더 20여명이 연사로 나서 20분씩 강연하는 ‘지식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