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 인기에 국민은행 '속앓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1-09 14:5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주택기금 수탁은행 제외, 대출확대·이자수익 불이익

(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올 들어 전세자금대출이 급증하면서 은행들이 쾌재를 부르고 있는 반면에 국민은행의 표정은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다.

정부 재원인 국민주택기금 수탁은행에서 제외돼 전세자금대출 확대에 한계를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국민·신한·우리·하나·기업은행 등 5대 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16조7851억원으로 지난해 말 11조7396억원보다 5조7120억원 증가했다.

특히 국민주택기금을 재원으로 하는 전세자금대출 잔액이 크게 늘었다. 대출금리가 낮아 서민층이 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10월까지 누적 증가액만 2조7956억원으로 전체 전세자금대출 증가액의 절반에 육박하고 있다.

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이 1조8401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5164억원), 하나은행(2647억원), 기업은행(1744억원) 등의 순이었다.

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에 적용되는 금리는 연 4% 수준. 추가로 발생한 이자수익만 1200억원에 달한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으로 대출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은행들로서는 꽤 쏠쏠한 수익원을 확보하게 된 셈이다.

그러나 국민은행은 국민주택기금 수탁은행에서 빠지면서 관련 대출을 전혀 취급하지 못하고 있다. 당연히 이자수익 창출에 있어서도 불이익을 받고 있다.

지난 2008년 국토해양부는 국민주택기금을 관리할 수탁은행을 새로 선정하며 경쟁입찰을 실시했다.

입찰 결과 기존 우리은행과 농협에 이어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기업은행이 수탁은행으로 이름을 올렸다.

반면 기금이 생긴 1981년 이후 총괄 수탁은행 지위를 유지했던 국민은행은 경쟁체제 도입으로 수수료가 낮아져 실효성이 없다는 이유로 입찰에 참가하지 않았다.

총괄 수탁은행 지위를 넘겨받은 우리은행의 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10조원을 넘어섰다.

국민은행 입장에서는 배가 아플 수밖에 없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수탁은행에서 빠진 것은 당시 국민은행 경영진의 전략적 선택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판단 착오였다”며 “대출 확대는 물론 신규 고객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까지 사라졌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전셋값 오름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전세자금대출 수요는 물론 국민주택기금 취급 실적도 함께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도 수탁은행 입찰 참여를 위한 내부 전략 수립에 착수했다. 다음 입찰은 2013년에 실시된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최근 전세자금대출이 늘면서 국민은행이 불이익을 받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내부적으로 계획을 짜고 있지만 아직 시간이 많이 남은 만큼 외부에 공개할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