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통합의 열쇠를 쥔 민주당이 내홍에 시달리면서 통합 논의가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는 현재로선 미지수다. 통합 전당대회를 반대하는 당내 여론이 호남지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점차 격양되고 있고, 일부 수도권 의원들도 당 지도부의 방침에 반대깃발을 꼽았다.
특히 통합의 대상인 민주노동당·진보신당 등도 대통합에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어, 통합이 민주당이 친노계를 껴안는 수준의 중통합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민주당은 9일 야권 통합을 둘러싼 당내 통합 찬성·반대파 간 내홍을 여과없이 드러냈다.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손학규 대표가 “국회 권력을 바꾸기 위해 야권은 힘을 합쳐야 한다. 여기에 따르면 살고 그렇지 못하면 철저하게 외면당할 것”이라며 통합 반대파를 강하게 압박했다.
반대파도 이에 질세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를 볼모로 당 지도부를 위협했다. 이날 민주당 비주류 의원 45명은 한미 FTA 비준안 발효 즉시 ISD 존치 여부에 대한 협상을 시작한다는 약속을 받아오면 비준안 처리를 저지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당 지도부가 한미 FTA 반대 기조를 야권 통합 논의의 동력으로 삼고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여기에는 강봉균·김동철·김성곤·김영환·박병석·백재현·신낙균·우윤근·이성남·장병완·조영택·최인기 등 반손(반 손학규) 혹은 친 정동영·정세균계 의원들이 주축을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당내 갈등은 본질적으로 대권과 당권을 둘러싼 기싸움이란 해석이 일반적이다. 당 지도부는 모든 진보세력을 끌어모아 내년 대선에서 승부를 보겠다는 입장인 반면, 19대 총선을 앞둔 비주류로선 당권을 지켜 공천을 받아야 할 입장이란 것이다.
실제로 당권 도전을 시사한 박지원 전 원내대표를 지지하는 의원 8명은 전날 별도의 모임을 갖고 대책 마련에 골몰했다.
이런 가운데 친노 인사들이 주축이 된 ‘혁신과 통합’·국민참여당 등은 통합 무드에 적극 동참하는 반면 민노당·진보신당 등은 민주당과 명확히 선을 긋고 있어 결국 민주당과 친노가 합치는 중통합 수준에서 갈무리 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제기된다.
현재 친노계는 민주당(한명숙 전 국무총리·안희정 충남도지사·이광재 전 강원도지사·백원우 의원)과 국민참여당(유시민 대표· 이재정 전 대표·천호선 전 청와대 홍보수석·이병완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백만 전 청와대 홍보수석), 혁통(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해찬 전 총리·김두관 경남도지사·문성근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 대표·이호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김경수 노무현재단 사무국장) 등으로 3분된 상태다.
대통합에 반대하는 한 민주당 의원실 관계자는 “시민사회단체가 대통합에 모두 참여할 경우 공천 갈등이 심화되고, 민주당의 지역적 기반인 호남지역 의원들의 반발 등 부작용이 예상된다”며 “친노 그룹은 과거 정파를 함께 했기 때문에 화학적 결합엔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