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문에 향후 글로벌 재정위기의 여파로 경제가 둔화할 경우 가계부채의 부실화가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을 포함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826조원으로 해당 분기를 포함하는 직전 1년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원계열) 1204조6000억원의 68.6%를 차지했다.
이는 매년 상반기 말 기준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7년 이후 최대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란 국민총소득(GNI)에서 해외로 무상 송금한 금액을 제외하고 무상으로 받은 금액을 더해 실제로 국민이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GNI는 국내 부가가치 생산량인 명목 국내총생산(GDP)에 해외 이자ㆍ배당ㆍ근로소득 등 국외 순수취요소소득을 가감해 산출한다.
매년 6월 말 가계대출 잔액이 직전 1년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52.0%, 2003년 54.4%, 2004년 54.5%, 2005년 55.7%, 2006년 58.5%, 2007년 60.4%, 2008년 63.8%, 2010년 67.6%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왔다.
또한 상반기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같은 기간 가계대출 증가분이 차지하는 비중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국민총처분가능소득(595조3000억원) 대비 가계대출 증가분(28조5000억원)은 비중은 4.8%로 전년(3.9%)보다 0.9%포인트 증가했다.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가계대출이 증가하는 것은 자연스럽지만 그 비중 확대는 우려스럽다는 진단이다. 그만큼 가계의 빚 갚을 능력이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11일 한은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공동 발표한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총부채 비중은 지난해 151.6%에서 올해 158.5%로 확대됐다. 또 조사 가구 가운데 74.2%가 원리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에 대해 “대내외 경제여건이 불안한 상황에서 금융기관으로부터 상환압력이 들어온다면 과다부채 가구를 중심으로 가계가 쓰러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