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북한이 이란 간 핵ㆍ미사일 ‘커넥션’ 의혹을 입증해 주는 것으로 분석돼 이란 핵-북한 핵 사태의 전개와 국제사회의 대응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13일 북한 핵문제에 정통한 외교소식통은 “이란 내 10여 곳의 핵과 미사일 시설에서 수백 명의 북한 엔지니어와 과학자들이 일하고 있는 것으로 휴민트(인적정보)를 통해 확인됐다”며 “이는 수년째 지속돼온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기술인력은 노동당 군수공업부 소속의 ‘99호실’ 출신들로 3개월 또는 6개월 단위로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제3국을 경유해 이란에 입국하고 있으며 나타즈와 쿰 등 이란 내 10여개 핵ㆍ미사일 관련 시설에 분산 배치돼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파키스탄 ‘핵개발의 아버지’로 불리는 압둘 카디르 칸 박사를 통해 파키스탄의 핵 기술이 북한으로 넘어갔다는 북한ㆍ파키스탄의 핵ㆍ미사일 커넥션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점을 의미한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사실 확인을 하지 않은 채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복수의 정부 당국자는 “정부로서는 공식 확인해줄 수 없는 사항”이라며 “북한과 이란의 미사일 협력은 일정부분 확인되고 있으나 핵 협력은 아직 확인된 바 없다”고 말했다.
국가정보원 측도 “정보사항이어서 확인해줄 수 없다”고 답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최근 발표한 이란 핵 관련 보고서에서 북한과의 핵개발 협력 부분은 적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 7일 “이란이 옛 소련ㆍ북한 등 외국 과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핵무기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들을 이미 확보한 것으로 IAEA가 결론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북한과 이란은 지난 1980년대부터 미사일을 중심으로 군사협력과 기술제휴를 해왔고 북한의 대포동 2호 미사일과 이란의 샤하브-5가 이 같은 협력의 산물인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