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신규취급액 기준 은행의 순수저축성예금 수신금리는 평균 연 3.75%로, 전분기(3.69%)보다 0.06%포인트 올랐다.
여기에 이자소득세(세율 15.4%)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제외하면 실질 예금금리는 -1.63%가 된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6년 1분기 이래 최저치로 특히 실질 예금금리가 마이너스라면 은행에 돈을 넣어두는 것이 손해가 되는 셈이다.
분기 기준 은행의 실질 예금금리는 지난해 1분기 0.35%에서 같은 해 2분기 -0.13%로 돌아선 이후 1년6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최장기간 마이너스 금리를 나타냈다.
이같은 마이너스 금리는 최근 은행의 예금금리는 2∼3% 수준이었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대를 웃돌면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은행의 순수저축성예금 수신금리는 1분기 3.58%, 2분기 3.69%, 3분기 3.75% 등 소폭 상승하기는 했으나 3% 중반에 머물렀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4.5%, 4.2%, 4.8%의 가까운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다.
내년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다섯 달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만큼 예금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 마이너스 금리 시대는 당분간 더 이어질 전망이다.
문제는 마이너스 금리가 장기화하면 가계 저축률 하향, 이자 생활자들인 퇴직자와 노년층의 어려움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글로벌 재정위기로 금융시장 자체가 경색되고 있어 마땅한 투자처를 찾기 힘든 실정이다. 때문에 이에 파생되는 어려움이 서민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