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는 북미 송유관 사업인 ‘키스톤XL’ 계획이 미국 정부의 승인 연기로 차질을 빚자 국내 원유 수출선의 다변화를 모색키로 하고 아시아 시장을 적극 공략키로 했다고 언론들이 말했다.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기구(APEC) 정상회의에 참가한 스티븐 하퍼 캐나다 총리는 오바마 미 대통령에게 최근 미 정부의 키스톤 송유관 사업 승인 연기 방침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캐나다산 석유·가스의 아시아 수출 시장 개척을 위해 TPP에 참여하겠다고 13일 밝혔다.
이를 두고 관련 업계에서는 2012년 대선을 앞두고 오바마 대통령이 송유관 사업 승인안을 경제논리가 아닌 정치논리로 풀어가려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하퍼 총리는 키스톤 송유관 사업 차질에 언급, “이번 일을 통해 캐나다가 에너지 상품 판로로 아시아 시장에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됐다”며 “이 방침은 캐나다 정부 정책의 주요 우선순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같은 정부 방침을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에서 중국에도 전달했다”고 밝혔다.
하퍼 총리는 오바마 미 대통령과의 회담 석상에서 미국산 제품 구매를 의무화한 ‘바이 아메리카’ 정책과, 미 입국 캐나다 국민에 대해 검색세를 부활키로 한 미 정부 방침 등 최근 불거진 양국 관계 현안에 대해서도 유감을 표시한 것으로 언론들은 전했다.
하퍼 총리는 그러나 양국 간 일련의 갈등이 미국의 반(反)캐나다 정책의 소산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강조하고 이 같은 상황을 초래한 미국의 국내 정치적 상황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하퍼 총리 측근의 말을 인용, 하퍼 총리가 미 정부가 송유관 사업 승인을 연기한 것을 두고 오바마 대통령에게 계속해서 유감을 표시했지만 향후 논의를 통해 이번 연기된 사업이 승인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보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