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대준 기자) 두산중공업은 5132억원 규모의 석탄가스화 실증플랜트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석탄가스화 실증플랜트는 국내에서 처음이다.
두산중공업은 가스화기, 합성가스냉각기 등 핵심 기자재의 설계, 제작을 비롯해 설치 시운전에 이르는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하게 된다. 석탄가스화 플랜트는 2015년 말 준공될 예정이다.
서동수 두산중공업 부사장(Power BG장)은 “태안 석탄가스화 발전이 실증에 성공할 경우, 국내에서 후속 제작은 물론이고 해외 수출도 기대된다”며 “해상풍력발전, 발전용 연료전지 등과 함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석탄가스화 플랜트는 석탄에서 수소, 일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를 추출해, 이를 연료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플랜트이다. 석탄가스화 기술은 세계적으로 미국, 일본, 네덜란드 등 5개 실증 플랜트만 운영될 정도로, 아직 상용화 되지 않은 고난이도 기술로 알려져 있다.
또 석탄가스화 발전은 친환경 기술이라는 점이 특징으로 꼽힌다.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데 드는 비용이 기존 석탄화력발전소와 비교할 때 30~50%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황산화물(SOx)이나 분진 같은 오염물질 배출도 크게 줄일 수 있다.
석탄가스화 발전은 지난 2006년부터 지식경제부가 주관하는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됐다. 그 동안 에너지기술평가원 주관으로 한국서부발전, 두산중공업 등이 기술을 개발해왔다.
현재 GE, MHI 등 글로벌 발전설비 업체들이 상용화 및 시장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편, 미국 에너지 리서치 회사인 EER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석탄가스화 발전 시장은 2030년까지 400GW, 1200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0년까지 15기 10GW 석탄가스화 플랜트 건설이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