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가 정치다] 안철수 쇼크, 기득권의 ‘나눔문화’ 확산되나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한국에도 서구 선진국과 같은 기득권층의 나눔문화가 확산될 것인가.
 
 잠재적 대선 주자로 거론되는 안철수 서울대 교수가 15일 사재 1500억원을 사회에 환원키로 공식 발표하면서 노블리스 오블리제(사회적 지위에 상응하는 사회적 의무)가 한국사회에 자리잡을 수 있을지 새 화두로 떠올랐다.<관련 기사 6면>
 
 안 교수의 ‘통큰’ 기부로 그동안 ‘책임정치’란 최소 의무에만 안주하던 정치권을 향한 비난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성 정치권의 향후 행보도 관심사다.
 
 안 교수는 지난 14일 자신이 보유한 안철수연구소 주식 지분(37.1%)의 절반인 1500억원 상당을 사회에 환원키로 결정했다.
 
 그는 일단 “단지 오래전부터 생각해 왔던 일을 실행에 옮긴 것일 뿐”이라며 정치적 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안 교수가 사실상 대권주자로 부상한 만큼 사회환원에는 지지도 상승을 위한 계산이 깔려 있으며, 결과적으로 큰 정치적 자산을 얻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에 한나라당은 큰 충격에 빠졌다. 시민사회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안 교수가 ‘자수성가’해 모은 재산의 절반을 내놓으며 대권주자로서 파괴력이 배가됐다는 판단 때문이다.
 
 특히 부자정당이란 이미지가 강한 한나라당으로선 안 교수가 부유층의 사회적 의무를 다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 “한나라당은 기득권층으로서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란 인식을 확산시킬까 고민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안 교수가 양극화 심화란 여당의 약점을 꼬집은 셈이 됐다.
 
 이에 따라 ‘자의반, 타의반’으로 기성정치권의 사회기부 움직임과 복지정책 확대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은 “속수무책이다. 안 원장의 기부가 국민에게 얼마나 많은 호응을 받겠느냐”고 말했고, 한 쇄신파 의원도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뒤쫓아가서라도 민생정책을 내놓아야 한다. 안 원장과 너무 대비가 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사유재산 인정'이란 보호막 뒤에 숨어있던 재벌집단을 향해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여론이 커질 것으로 보여, 안 교수의 이번 기부가 어디까지 사회적 반향을 일으킬 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