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정상끼리 약속을 했다고 해도 국가 간 정치적 약속은 그 약속을 담보할 수 있는 문서로 마무리해야 한다. 한나라당이 국회를 파국으로 몰아가는 어리석은 선택을 하지 않길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 “홍준표 대표께는 강행처리 때가 왔다고 큰소리 치면서 기자에게 아구통을 날릴 생각은 접으시라고 고언을 드린다”고 지적했다.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와 관련해선 “이명박 대통령이 국회에 와서 책임지고 미국과 재협상이 실현되도록 하겠다고 했다”며 “통상당국은 대통령의 의지를 신속히 반영해 '문서'로 재협상 약속을 받는 것이 책무를 다하는 길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간 협상은 '말 대 말'로 시작해서 '문서 대 문서'로 끝나는 것이 상례”라며 “정상끼리 약속했다 하더라도 그 약속을 정치적 행동으로 담보할 수 있는 문서로 마무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영선 정책위의장도 ‘한미FTA 발효후 ISD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미 통상당국자의 발언에 대해 “누가 얘기했는지조차 불투명한 말 한마디를 미국의 공식 입장처럼 인식한다면 국민이 모욕당하는 것”이라면서 “국가간 약속은 문서로 남기는 게 관례”라고 강조했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16일 의원총회를 열어 이 대통령의 'FTA 발효 후 3개월 내 ISD 재협상' 제안을 사실상 거부하고, 대신 ISD 폐기ㆍ유보를 위한 재협상을 즉시 하겠다는 양국 장관급 이상의 합의서를 받아올 것을 요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