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교수는 이날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가 여는 포럼에 앞서 배포한 발표문에서 “2009년 중국이 북한과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로 결정한 이후 북한은 외교전략의 우선순위를 북방정책에 두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중러 3국의 경제협력을 기반으로 강화되고 있는 ‘북방체제’가 이미 현실화·구체화·구조화되고 있기에 북한은 북방정책을 통해 체제보장, 경제발전, 정세의 안정적 관리 등을 추구하고 있다”며 “그 결과 외교전략에서 대남정책이 갖는 비중과 역할은 축소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북한의 입장에서 오바마 행정부의 ‘전략적 인내’와 이명박 정부의 ‘기다리는 전략’으로 북미관계와 남북관계에서 성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북한 입장에서는 이명박 정부가 임기말로 들어선 점을 감안해 ‘기다리는 전략’으로 전환할 개연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