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리는 이날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주재하며 “경제부처는 `보험사기는 명백한 범죄 행위이고 반드시 적발된다‘는 경각심을 갖도록 정책적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각 부처에서 교육, 의료, 복지 수급 등 제반 정책 분야에서 이와 유사한 도덕적 해이 현상이 없는지 살피고 언론, 시민사회와 협력해 국민 의식 개선과 도덕성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또 “종전엔 어려운 환경에서 배움에 대한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성공 신화를 만들고 사회의 귀감이 되는 일이 많았지만 최근엔 사교육비 부담으로 그런 희망과 믿음이 무뎌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했다.
김 총리는 “교육희망사다리는 정부와 학교, 민간이 힘을 합쳐 취약계층을 비롯한 단 한 명의 학생도 놓치지 않는 공생교육을 구현해 나가고자 하는 것”이라며 만5세 공통과정 시행 준비와 취약계층 교육 지원 내실화에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기업과 대학, 시민사회의 참여 등을 활성화해 취약계층 학생이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