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기획재정부가 성균관대 하이브리드컬처 연구소로부터 제출받은 ‘2040년 한국의 삶의 질’ 최종 보고서에 따르면 2040년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89.38세로 2008년의 80.1세보다 9세가량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1인당 국민소득은 2009년 1만7175달러에서 2040년에 3만8408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하고, 하루 평균 여가는 2008년 4.8시간에서 2040년 5.87시간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반면, 청년실업률은 2010년 7.0%에서 2040년 8.62%로 늘어 청년들의 구직 전쟁이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됐다.
자가 주택 소유율은 2004년 62.9%에서 2040년 56.12%까지 떨어져 부동산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이 전망됐다. 노부모를 부양하겠다는 인구는 2008년 40%에서 2040년 19.20%까지 급감할 것으로 추정됐다.
범죄율은 2009년 4% 수준에서 4.52%로 늘어 치안 문제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1인당 환경보호 지출액은 2006년 40만3000원에서 2040년 97만800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지금부터 우리나라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시스템을 개혁해 혁신, 통합, 개방의 선순환에 기반한 성장 동력을 마련한다면 2040년 소득 수준이 전망대로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2040년에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늘어나는 반면 결혼의 필요성이나 노부모 부양의식 등과 같은 전통적인 가치관은 약화할 것”이라며 “특히 현재 한국인 대부분이 사교육비에 큰 부담이 있는데 2040년에는 줄어들 것으로 보이는 등 한국인의 삶의 질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