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 증상’ CJD 사망 국내 첫 확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1-29 10: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국내에서 광우병처럼 뇌에 스펀지 같은 구멍이 뚫려 뇌기능을 잃게 되는 감염병인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에 걸려 숨진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와 한림대 의대 김윤중 교수팀은 지난 7월 감각장애와 정신이상, 운동장애 등의 증상을 보이다 숨진 54세 여성의 생체조직을 꺼내 동물실험을 한 결과 국내 첫 ‘의인성 CJD(Iatrogenic CJD)’ 환자로 최종 판명됐다고 29일 밝혔다.

CJD는 치매와 운동능력 상실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감염 후 잠복기간이 20여년 이상으로 길지만 발병 이후에는 생존기간이 1년 정도로 짧은 게 특징이다.

광우병이 사람한테 전염돼 인간광우병으로 불리는 ‘변종 CJD’, 수술 등을 통해 사람에게서 사고로 전파되는 ‘의인성 CJD’, 자연적인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산발성 CJD’, 유전에 의한 ‘가족성 CJD’ 등으로 구분된다.

의인성 CJD의 경우 주로 사망자의 뇌 경질막 이식, 뇌하수체 호르몬 이식, 각막 이식, 신경외과의 감염된 수술 장비 등을 통해 감염된다.

논문에 따르면 이 환자는 23년전인 1987년 뇌종양의 일종인 뇌수막종으로 절제술을 받고 이곳에 다른 사망자의 뇌조직을 원료로 한 경질막을 이식한 뒤 CJD에 감염됐다.

뇌수막종 수술 후 뇌경질막을 다시 이식하는 것은 보통 수막종이 뇌경질막에 발생하기 때문에 함께 떼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그는 CJD에 감염된 줄도 모른 채 20여년을 지내다 지난해 6월 몸에 힘이 약해지고 왼쪽 얼굴과 오른쪽 발가락에서 감각장애가 나타나나는 등의 운동장애, 간대성근경련(근육의 일부 또는 전체에 나타나는 갑작스런 수축현상) 등이 나타난 후에야 대학병원에 보내졌다.

당시 뇌-자기공명영상(MRI)에서는 눈에 띨만한 점은 없었다.

하지만 그 이후 사망 시점까지 환자의 증상은 급격히 악화됐다. 구음장애와 공포증, 심한 감정변화, 불면증, 환각증, 복시 등이 나타났다.

김윤중 교수는 “라이요두라(Lyodura)라는 제품의 뇌경질막을 이식 받은 뒤 CJD에 감염된 첫 사례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라이요두라는 지금도 뇌수술 등에 사용되고 있지만 사망자의 뇌조직을 이용했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소의 뇌경막 조직을 이용하고 있다.

권준욱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센터장은 “전문가위원회를 구성하고 조사요원들을 병원에 보내 실태조사를 벌이는 한편 향후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