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당뇨에 ‘축소 위 우회술’ 탁월

  • - 합병증 적고, 재발 없어

허경열 순천향대 교수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난치성 당뇨 치료에 축소 위 우회술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29일 순천향대서울병원은 허경열·김명진 외과 교수팀이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강하제 등 어떤 당뇨치료제로도 조절이 되지 않는 마른 2형 당뇨병 환자를 축소 위 우회술로 치료한 결과 이같이 학인했다.

이번 연구는 2009년 8월부터 최근까지 축소 위 우회술을 받은 128명의 환자들의 수술 전후 합병증을 분석했으며 18개월 이상 추적이 가능한 26명은 당뇨조절결과를 관찰한 결과다.

전체 대상 환자 중 사망은 없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수술 부위 궤양과 누출이 있었으나 치료했으며 식이의 어려움과 영양 장애를 호소하는 환자 역시 시간이 지나면서 상태가 좋아졌다.

수술 전 환자들의 평균당화혈색소는 9.3%(전체 대상 환자에서 어떤 치료로도 개선되지 않는 당화혈색소 7% 이상 포함)였으나, 수술 18개월 후에는 6.3%로 떨어졌다.

특히 미국 당뇨협회에서 정한 완치 기준(투약이나 인슐린 주사 없이 당화혈색소 6.0% 이하)에 해당하는 환자비율이 38%나 됐으며 완치에 가까운 수준이라고 할 수 있는 평균당화혈색소 6.5%이하도 23%로 전체 61%에서 매우 좋은 치료 결과를 보였다.

당뇨병 환자의 목표 당화혈색소치인(합병증 발생을 예방 할 수 있는) 7%이하까지 포함하면 85%에 달하는 환자들이 만족한 치료를 받았다.

나머지 15%환자도 당화 혈색소가 7%이상이 지속되고 있지만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극히 일부에서는 오래된 당뇨(30년 이상)와 마른 체형 때문에 당 조절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허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축소 위 우회술이 현존하는 어떤 당뇨 치료법보다 가장 강력한 방법임을 보여준 것”이며 “기존에 발표됐던 비만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는 다르게 체질량지수 30이하 (평균25)의 정상내지는 마른 당뇨를 대상으로 시술한 결과여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서양의 비만에서 발생되는 당뇨병의 당뇨수술 후 급속히 혈당이 조절되는 결과를 보이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수술 후 혈당이 정상이 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마른 당뇨가 많고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워낙 길어 심한 인슐린 저항성을 갖고 있어 떨어지는 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