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권고기준을 적용해 품목별 물가적용 가중치도 변경하고 가중치 모집단은 1인 이상 ‘도시가구’에서 1인 이상 ‘전국가구’(농어가 제외)로 확대된다.
통계청은 국가통계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소비자물가지수 2010년 기준연도 개편안을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먼저 소비자 기호변화, 신제품 출현 등 소비행태 변화로 새로운 품목이 43개 추가됐다. 스마트폰이용료, 인터넷전화료, 휴대용멀티미디어기기 사용료와 문화강습료, 캠핑용품, 게임기, 애완동물미용료, 등산복 등이 추가됐다.
아울러 식문화 변화에 따라 혼식곡, 외식 막걸리, 외식 오리고기, 밑반찬, 삼각김밥, 떡볶이 등이 조사대상 품목에 신규로 포함됐다.
반면 캠코더, 유선전화기, 전자사전, 공중전화통화료, 영상매체대여료 등 사용빈도가 크게 줄어든 사양 제품이나 서비스이용료 등 21개 품목은 제외됐다. 이에 따라 전체 품목 수는 기존 489개에서 481개로 8개 줄었다.
금반지도 빠졌다. 그동안 가격 급등으로 물가를 왜곡하고, 사실상 소비재가 아닌 자산이라는 이유에서다.
통계청은 “국제연합(UN)의 국민소득 편제기준(SNA)과 목적별 소비지출 분류기준(COICOP)상 금반지는 자산으로 구분돼 소비지출에서 제외했다”고 밝혔다.
품목별 가중치는 전기․수도․가스를 포함한 서비스가 604.2에서 604.7로 0.5포인트 증가했다. 공업제품은 307.4에서 317.7로 10.3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금반지가 빠지는 등 개편되는 물가지수에 따라 소비자 물가는 하향조정될 전망이다. 올해 1~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4%이지만, 새 물가지수에 적용하면 4.0%로 0.4%포인트나 하락한다.
새 물가지수는 2010년 1월부터 소급해서 적용하고, 당장 11월 물가동향에서부터 새 지수가 반영된 물가통계가 발표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